express 설치
npm install --save express
를 통해서 express
를 설치한다.
package.json
을 보게되면, 의존성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.
{
"name": "nodejs",
"version": "1.0.0",
"main": "index.js",
"scripts": {
"test": "echo \"Error: no test specified\" && exit 1"
},
"author": "",
"license": "ISC",
"description": "",
"dependencies": {
"express": "^4.18.2"
}
}
Express 설정
app.js
를 생성한 뒤 다음 코드를 작성한다.
3000번 포트에 연결이 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.
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
const app = express()
const port = 3000
app.get('/', (req, res) => {
res.send('Hello World!')
})
app.listen(port, () => {
console.log(`app listening on port ${port}`)
})
Express 실행
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코드를 터미널에 적는다.
node app.js
실행한 뒤에, 주소창에 http://localhost:3000/
을 작성하면 되면 'Hello World!'가 출력된다.
만약 다른 path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get
메서드에 인자값을 변경하면 된다.
예를 들어 http://localhost:3000/test
로 만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추가하면 된다.
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
const app = express()
const port = 3000
app.get('/', (req, res) => {
res.send('Hello World!')
})
app.get('/test', (req, res) => {
res.send('Test Page!')
})
app.listen(port, () => {
console.log(`app listening on port ${port}`)
})
서버 실행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Ctrl + C
혹은 CMD + C
를 눌리면 된다.
'JavaScript > 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ypeScript 설치 (0) | 2023.08.13 |
---|---|
ESLint 설치 (0) | 2023.08.12 |
prettier 설치 (0) | 2023.08.12 |
package.json (0) | 2023.08.12 |
server.js (0) | 2023.08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