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brew.sh 에 접속한다.

 

Homebrew 설치하기 옆에있는 Copy 아이콘을 클릭하여 선택한다.

터미널을 실행시킨다.

터미널에 해당 커맨드를 붙여넣는다.

 
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
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한다.

 

엔터를 클릭하여 진행한다.

 

끝난뒤에 해당 커맨드를 입력한다.

echo 'eval "$(/opt/homebrew/bin/brew shellenv)"' >> /Users/사용자이름/.zprofile
eval "$(/opt/homebrew/bin/brew shellenv)"

 

Homebrew가 설치됐는지 해당 커맨드를 통해서 확인한다.

brew --version

 

 

 
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ocker Desktop으로 Nginx 설치하기  (0) 2023.11.10
시놀로지 나스에 PostgreSQL 설치 및 외부 연결  (0) 2023.08.22
PowerMockup  (0) 2023.06.05
디자인 패턴과 프레임워크  (0) 2023.02.02
JSON  (0) 2022.12.26

 

구분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
구조 대괄호([]) 소괄호(()) 중괄호({}) 중괄호({})
중복여부 O O X 키: X
값: O
순서 O O X O
변경여부 O X O O
인덱스접근 O O X O

<문제상황>

Bootstrap을 통해서 <div>에 container-fluid 클래스를 추가했음에도, 좌우에 여백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였다.
CSS를 찾아보니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었다.

      --bs-gutter-x: 1.5rem;

해결방법 1: css를 그냥 수정하는 방법

--bs-gutter-x라는 요소가 좌우 간격을 띄우는 역할을 했다.

.container-fluid {
      --bs-gutter-x: 0; /* container-fluid 설정 시에, 좌우에 공백생기는 걸 제거 */
}

해결방법 2: 클래스 추가

--bs-gutter-x가 gutter라는 것을 확인한 뒤에, gutter를 0으로 설정하는 클래스가 있는지 확인했다.
그리고, 해당<div>에만 g-0 클래스를 추가했다.

<div class="container-fluid g-0">
	/* 내용 */
</div>

 

  •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:
    • Ethernet: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물리 및 데이터 링크 계층 기술 중 하나
    • RS-232: 시리얼 통신에 사용되는 표준
    • V.35, V.90: 모뎀을 통한 데이터 전송 표준
  •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:
    • Ethernet: 이더넷 프레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
    • PPP (Point-to-Point Protocol): 점대점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
    • IEEE 802.11: 무선 LAN (Wi-Fi) 표준
  •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:
    • IP (Internet Protocol):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패킷 전송의 주요 프로토콜
    • ICMP 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: 네트워크 장치 간의 오류 메시지 및 운영 정보를 전송
    • IGMP (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):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에 사용
  •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:
    • TC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: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적 데이터 전송을 제공
    • UDP (User Datagram Protocol): 연결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량 프로토콜
  • 세션 계층(Session Layer):
    • NetBIOS (Network Basic Input/Output System): 네트워크 어댑터와 통신할 때 사용되는 서비스 및 프로토콜
    • RPC (Remote Procedure Call):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있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함
  •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:
    • SSL (Secure Sockets Layer):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를 관리하여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
    • MIME (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): 이메일을 통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표준
  •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:
    • 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: 웹 페이지 및 기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됨
    • FTP (File Transfer Protocol):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
    • SMTP 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: 이메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

 

출처) ChatGPT
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보안 요소  (1) 2023.02.16
입력 데이터 검증 및 표현의 보안 약점  (0) 2023.02.16
C언어의 대표적인 표준 라이브러리  (0) 2023.02.16
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  (0) 2023.02.16
프로토콜의 종류  (0) 2023.02.16

자바스크립트의 속성 앞에 _(언더스코어)를 쓰는 이유는 이 속성이나 메서드가 비공개임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방법이다.

자바스크립트는 자바나 다른 언어들과 달리 직접적으로 접근제어자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, _(언더스코어)를 사용한다.

ES6 이후에 클래스가 생성됨에 따라서, #을 쓰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.

class Example {
    #privateField;

    constructor(value) {
        this.#privateField = value;
    }

    getPrivateField() {
        return this.#privateField; // 내부에서 접근 가능
    }
}

const obj = new Example(123);
console.log(obj.getPrivateField()); // 123 출력
console.log(obj.#privateField); // SyntaxError, 외부에서 접근 불가

 

출처) ChatGPT

'JavaScript >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코드 순서의 (비)중요성  (0) 2023.06.07
return  (0) 2023.06.07
functions  (0) 2023.06.07
String  (0) 2023.06.07
자료형  (0) 2023.06.07
  • 모듈이란 특정 데이터들의 집합(파일)을 의미한다.
  • 모듈의 import(가져오기) 문법과 export(내보내기) 문법을 사용할 때, 모듈이라고 부를 수 있다.

module.js

export const hello = 'Hello World!'
  • module.js에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입력하고, export를 통해서, 내보내기를 한다.

main.js

import { hello } from './module.js'

console.log(hello) // 'Hello World!'
  • module.js를 받아오기 위해서는 import를 통해서 받아오기를 진행한다.
  • 변수로 선언했던 hello{} 사이에 넣어주고, 콘솔을 찍으면, module.js에서와 동일하게 Hello World!가 출력된다.

기본(default) 내보내기

  • 모듈에서는 값들을 내보낼 때, default(기본값), 객체, 함수 등을 export(내보내기) 할 수 있다.

module.js

export default defaultValue
  • export시에, default를 사용해서, 기본으로 보내는 값을 지정가능하다.

main.js

import value from './moudle.js'

console.log(value); // defaultValue
  • import시에, importfrom 사이에, 원하는 변수명을 입력한다.
  • 변수로 선언한 값을 conosle에 출력해보면, moudule.js에서 default값으로 선언한 defaultValue라고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다.

유명(named) 내보내기

module.js

export const str = "ABC"
const const arr = []
export function hello() {}
  • export시에, 함수, 배열, 객체, 변수등을 보내기가 가능하다.

main.js

import { str, arr, hello } from './module.js'

console.log(str); // 'ABC'
console.log(arr); // []
console.log(hello) // function hello()
  • import시에, {} 사이에, 변수명을 넣으면, 출력이 가능하다.

main.js

`import { str as alphabet } from './module.js'`

console.log(alphabet); // 'ABC'
  • 또한, as를 통해서 변수명을 다르게 변경할 수도 있다.

여러모듈 한번에 내보내기

moduleA.js

export const a = () => abc

moduleB.js

export const b = () => def

main.js

import { a } from './moduleA.js'
import { b } from './moduleB.js'

console.log(a()) //abc
console.log(b()) //def
  • 모듈을 합치지 않으면,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.
  • 하지만 모듈을 합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.

moduleA.js

export const a = () => abc

moduleB.js

export const b = () => def

utils.js

export {a} from './moduleA.js'
export {b} from './moduleB.js'
  • moduleA와 moduleB를 바로 export(내보내기)한다.

main.js

import { a, b } from './utils.js'

console.log(a()) // abc
console.log(b()) // def
  • 그렇게 되면, 다음과 같이, console.log()에 동일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.

Docker Desktop을 실행한다.

상단의 Search에서 nginx를 검색한뒤에 Pull을 클릭한다.

Images 탭에 들어간 뒤에, Run을 클릭한다.

컨테이너 명을 입력하고, Host port80을 입력한뒤에 Run을 클릭한다.

브라우저에서 localhost를 검색하면, 적용이 완료된 걸 볼 수 있다.
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맥북에 Homebrew 설치  (0) 2025.01.21
시놀로지 나스에 PostgreSQL 설치 및 외부 연결  (0) 2023.08.22
PowerMockup  (0) 2023.06.05
디자인 패턴과 프레임워크  (0) 2023.02.02
JSON  (0) 2022.12.26

본 내용은 DSM7.2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

Docker(Container Manager)에서 PostgreSQL 설치

  • Container Manager 실행 후, 레지스트리에서 postgres 검색, 태그 선택에서 latest를 선택 후 적용을 누른다.

  • 컨테이너 이름을 적고, 자동 재시작 활성화를 체크한다.

  • 포트 설정에 로컬 포트를 적는데 추후에 DBeaver에 적을 포트번호이다. (임의로 5433을 적었다.)

  • 환경변수를 2개 추가한 뒤에, POSTGRES_USERPOSTGRES_PASSWORD를 입력하고, 값을 넣는다.
    임의로 postgresmypassword로 각각 값을 지정했다.

  • 지정된 값을 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.

방화벽 설정

  • 만약 방화벽 설정을 해뒀다면 해당 포트를 열어야 한다.

  • 보안 → 방화벽 탭의 규칙편집을 눌린다.

  • 생성을 눌린 뒤, 방화벽 규칙 편집에서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서 선택의 라디오 버튼을 체크한 뒤, 선택을 눌린다.

  • 많은 포트들이 있을 건데, 거기서 Docker 컨테이너명의 포트번호를 확인하고, 체크를 한다.

포트 포워딩

  •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다면, 포트포워딩을 해줘야 한다.
  • 글의 포트명을 기준으로 하면, NAS IP:5433으로 하면 된다.

DB 외부연결 확인

  • DB연결을 확인하기 위해서 DBeaver를 사용했다.

  • DBeaver에 들어간 뒤에, 플러그 모양을 눌린다.

  • PostgreSQL를 선택한다.

  • Host에는 외부 IP 주소(도메인을 설정했다면, 도메인주소)를 Port에는 설정한 포트(5433)를, UsernamePassword에는 각각 4번에서 추가했던 값들을 넣고, Test Connection...을 눌려서 연결을 확인한다.

  • 연결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맥북에 Homebrew 설치  (0) 2025.01.21
Docker Desktop으로 Nginx 설치하기  (0) 2023.11.10
PowerMockup  (0) 2023.06.05
디자인 패턴과 프레임워크  (0) 2023.02.02
JSON  (0) 2022.12.26

+ Recent posts